[스크랩] 혼 ·창· 통을 완독하면서...
혼 ·창· 통을 완독하면서...
숫자 "3" 의 의미
"혼|창|통|당신은 이 셋을 가졌는가? " 을 완독하면서 '숫자 3'이 참으로 좋은 의미를 지닌 수(數)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조선일보가 주말에 덤으로 제공하는 경제섹션지 '위클리비즈 ' 의 한 때 편집장이었던 저자 이지훈은 '대가(大家)들의 지혜에서 추출해낸 키워드가 혼 ·창· 통, 셋이었다는 것은 켤코 우연이 아니며, 예로부터 숫자
3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성한 숫자로 숭배되어 왔다' 고 책 끝머리에서 말하고 있어 소개합니다.
음양의 조화를 중시하는 동양에서 1은 남자, 2는 여자를 뜻하며 이 둘을 합한 3은 생명의 탄생, 혹은 완전함을 의미했다. 또한 역경이나 고난을 이겨내고 완전해지는 것을 상징했다. 기독교에서는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가 있다면, 불교엔 3가지 보물, 즉 불·법·승의 3보(三寶)가 있다. 이처럼 숫자 3은 완전함을 향한 인류의 끊임없는 추구를 상징한다. 혼 ·창· 통은 그 완전함에의 추구를 이 시대에 맞춰 풀어낸 삶의 조직의 운영원리라 할 것이다. 혼 ·창· 통이라는 키워드가 일견 낯설게 보일 수도 있다. 뜬구름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혼 ·창· 통은 결코 먼 하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혼 ·창· 통이 얼마나 우리 가까이에 있는지 다시 한번 상기해 보자.
혼魂:가슴 벅차게 하는 비젼이 사람을 움직인다.
창創:끊임없이 "왜"라고 물어라, 그러면 열린다.
통通:만나라, 또 만나라...들어라, 잘 들어라.
많은 사람들이 행운을 기대한다. 하지만 행운은 결코 저절로 찾아오지 않는다. '진인사대천명' 즉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을 다하고 나서 하늘의 뜻을 기다리는 사람에게만 허락된다. -이하 중략- 혼 ·창· 통은 하늘의 뜻을 기다리기 전에 개인과 조직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이 시대의 처방전이다.성공과 성취는 오직 준비된 자에게만 허락되는 법이다.
*출처:혼|창|통|, 당신은 이 셋을 가졌는가? p.p291~292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