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육삼락회 열세번째 고적답사
사직단 & 종묘 다녀오다!!
2017년 4월 26일(수) 인천교육삼락회 고적답사 동아리 회원 8명은 조선조의 모태가 되는 서울 사직단과 종묘를 답사하였습니다.
●●사직단/사적 제121호
사직이란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을 말하며 이들 신들에게 제사 지내는 곳이 사직단입니다.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는 땅과 곡식이 국가의 근본이었기 때문에 이미 삼국시대부터 사직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는 종묘와 더불어 국가에서 가장 중요하고 격이 높은 제사에 속했습니다.
조선시대에 세워진 현재의 사직단은 임금이 있는 곳을 기준으로 왼쪽에 종묘를 오른쪽에 사직을 세운다는 고대 중국의 배치 원리에 따라 경복궁의 서쪽에 세웠습니다. 그리고 이를 관리하고 제사와 실무를 담당하는 관아를 사직서社稷署라 하였습니다. 서울외에도 사직단은 군현郡縣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에 세워져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기원하였습니다.(지방 5군데 잔존)
(사진1)국보로 지정된 사직단 대문
제사는 시기별로 차이는 있으나 4번의 정기제사와 기우제 · 고유제· 위안제 등의 다양한 비정기적인 제사가 있었습니다. 황제국으로 격상된 대한제국 시기에는 사직이 태사와 태직으로 격상되어 제사가 행하여졌으나 일제 강점기에 폐지되었고 1911년에는 사직의 신주가 불태워졌습니다. 일제 강점기 이후 사직단은 공원으로 바뀌면서 제단을 비롯하여 대문과 안향청만을 남기고 여러 부속 건물들이 사라졌으며 국보로 지정된 대문은 1962년과 1973년에 도로확장으로 24m 가량 뒤로 옮겨진 상태입니다.
(사진2) 사직단 앞에서의 고적답사회원들
1885년 이후에는 복원계획이 수립되어 정비가 이루어졌으며 1988년에는 사직대제가 복원되었습니다. 사직대제는 200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으며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의 주관으로 매년 9월 네째 토요일에 봉행되고 있습니다. 212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권을 이관받아 국가에서 직접 관리를 맡아 장기적인 복원계획을 마련하여 추진중에 있습니다.
(사진3)사직단 정비계획도
●●종묘宗廟
종묘는 유학을 통치기반으로 하여 건국한 조선왕조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가 왕비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봉행하던 곳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정전을 종묘라 하였으나 현재는 정전과 영녕전을 모두 합쳐 종묘라 부름니다. 정전과 영년전은 장식과 기교를 절제하여 단조로워 보이지만 이는 왕실의 제사를 모시는 공간이기에 존엄하고 신성한 분위기를 위한 의도적인 장치입니다.
(사진4) 국보 제227호로 지정된 정전正殿(총101m)
(사진5)종제례를 설명한 궤도 자료
정전에는 태조의 신주를 비롯하여 공덕이 있는 역대 왕과 왕비49분의 신주를 모시고 있고, 영년전에는 태조의 4대조를 비롯하여 조선의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 34분의 신주를 모시고 있습니다. 그러나 폭군인 연산군(조선조 10대)과 광해군(조선조15대)의 신주는 모시지 않고 있음을 이 번 답사를 통해서 알았습니다.
종묘는 건물과 더불어 제례 및 제례악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종묘는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으로 등재되었고 종제례 및 종묘제례악은 2001년에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었습니다.
(사진6) 영녕전 앞에서의 고적답사 동아리회원 인증샷
인천교육삼락회 고적답사 동아리는 고적답사 1주년 특별기획답사로 2017년 5월 10일(수) 경기도 여주시 일원의 효종영릉, 강한사, 영월루공원, 이완장군묘, 혼암리유적 등을 답사할 계획입니다. 고적답사 동아리회원들은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두가 참석하길 박춘식 동아리회장님 갈망하십니다. 오늘, 수고 많으셨습니다.
***크리스탈***
'고적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양녕대군 묘와 사당(至德祠) 탐방(동영상) (0) | 2017.08.20 |
---|---|
[스크랩] 세검정(지)·홍지문·보도각 백불 탐방 (0) | 2017.07.22 |
[스크랩] 인천이씨(李氏) 근원지, 원인재(源仁齋) 답사하다. (0) | 2017.04.21 |
[스크랩] 부천 오정구 오리울(古康洞)역사 유적지 탐방 (0) | 2017.04.02 |
[스크랩] 안산 별망성(지)別望城(址) 답사 (0) | 2017.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