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번째 인천교육삼락회 고적 답사
구(舊)홍릉(영휘원&숭인원) 및 세종대왕기념관 탐방
인천교육삼락회 고적답사부 여섯번째 탐방은 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자리잡은 구(舊)홍릉입니다. 청량리역은 경기 가평에서 근무를 하던 새내기 시절 발이 닳도록 드나들던 곳입니다. 근 40여년만에 다시 본 청량리역 모습은 한마디로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표현이 적절한 것 같습니다. 박춘식회장님의 안내로 청량리역에서 버스를 타고 두 마장 거리에 있는 구 홍릉으로 향했습니다.
먼저 방문한 곳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군이신 세종대왕의 눈부신 업적과 정신을 느낄 수 있는 유적과 유물을 접할 수 있는 세종대왕기념관이었습니다. 제일 먼저 눈에 띄는 세종대왕신도비(서울시 유형문화재제42-1호)는 본래 헌릉(서초구내곡동 산13번지)에서 영릉으로 이전(여주시 능서면)하면서 땅에 묻어두었던 것을 세종대왕기념관 건립 후 옮겨놓은(1974년)것이라 합니다. 비신(碑身)이 심하게 부식되어 내용을 알아볼 수 없는 상태이나 정인지가 글을 짓고 안평대군이 글씨를 썼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야외전시장(세종공원)에는 구 영릉에 조성되었던 석물들과 서울 청계천 수표(보물 제838호) 측우기 주시경 스승의 비 등 을 볼 수 있습니다. 대청, 일대기실, 한글실, 과학실, 국악실, 등 모두 7실로 꾸며진 실내 전시실에는 세종대왕의 생애 및 업적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세종대왕기념관 인근에 위치한 영휘원(永徽園)은 조선 26대 고종의 후궁이며 의민황태자의 생모인 순헌황귀비(1854~1911) 엄씨의 원입니다. 원(園)은 왕의 사친(私親) 또는 왕세자와 그의 빈(嬪)의 무덤을 말합니다. 숭인원(崇仁園)은 고종황제 넷째 아들인 의민황태자의 첫 아들 이진(李晉)의 무덤입니다. 이진(1921~1922)은 일본에서 태어나 의민황태자 내외가 귀국하였을 때 의문의 죽음을 당한 후 순종황제의 명에 의해 특별히 원으로 조영되어 이곳에 묻혔다고 합니다.
구한말 국력이 쇠약하여 일본의 국권 찬달로 비운을 맞은 고종 및 순종황제및 가족들을 생각하면 나 자신도 모르게 비탄에 잠기게 됩니다. 다시는 우리 모두가 각성하여 이런 일이 반복되어서는 아니되겠다는 다짐을 하면서 비록 늦은 나이지만, 우리 민족의 뿌리를 제대로 알 수있게 배려해 준 인천교육삼락회 김종배회장님과 더불어 고적답사동아리 박춘식회장님에게 고마움을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촬영 . 편집/김청규***
'고적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경기 광명시 영회원(永懷園) 답사 소회 (0) | 2017.01.21 |
---|---|
[스크랩] 운현궁(雲峴宮)과 우정총국(郵征總局)터 탐방 (0) | 2016.12.24 |
[스크랩] 고려 공양왕릉 및 추원제 답사 동정 (0) | 2016.08.26 |
[스크랩] 관곡지 및 강희안·강희맹 유택 탐방(동영상) (0) | 2016.07.22 |
[스크랩] 사육신 공원 및 용양봉저정 탐방 동정 (0) | 2016.06.24 |